전체 글 409

홍성소식 306 - 누룩 디디기 (누룩 빚기)

누룩이란 우리나라 전통의 술 발효제로서, 술의 발효와 숙성 중에 주원료로 사용되는 곡물(찹쌀, 멥쌀, 보리, 밀, 옥수수, 수수, 조 등)의 전분질을 분해, 당화시켜 포도당으로 만들어주는 효소원이자 발효원으로, 알코올 발효의 중요한 원료입니다. (현미흑)초 치는 형제의 인양양초장은, 발효에 특화된 쌀인 ‘설갱미’로 ‘누룩’을 직접 빚어 술을 만들고, 이 술을 이용하여 ‘현미흑초’를 만듭니다. 누룩을 사용하여 술을 빚기 위해서는 '누룩디디기 (누룩 빚기) → 누룩 띄우기(숙성 발효) → 이화곡 껍질 벗기기 → 법제' 의 4단계 과정을 거쳐야만 합니다. 4월 19일 설갱미 240Kg을 사용하여 누룩을 빚었습니다. 누룩디디기 (누룩 빚기) 작업 과정입니다. 쌀 세척 및 불림 → 쌀을 일어 물기 제거 → 방아작..

귀향일기 2021.04.30

홍성소식 305 - 인양양초장 / 초 치는 귀농 10년차 농부의 각오

십 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합니다. 그러나, 강산은 어제도 변했고, 지금도 변하고 있습니다.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간이 십 년이라는 뜻 일 것입니다. (현미흑)초 치는 형제의 홍성 ‘인양양초장’ 역사는 2012년 3월 18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. 올해가 10년차 입니다. 진짜, 산이 변했습니다. 물과 전기도 없는 야산에, 귀농 시 지참한 3m*7m 컨테이너, 이동용 간이 화장실, 1톤 트럭, 그리고 13개의 식초 항아리를 배치하였을 때, 모든 것이 막막하기만 하였습니다. 지난 10년간, 남들이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일에 도전하여, 형제의 노동력만으로 오늘의 인양양초장을 만들었습니다. 삶은 노력한 만큼 이루어지지 않고, 기대한 것 이상으로 얻기는 더욱 어렵다는 사실만큼은 틀림없습니다만, ..

귀향일기 2021.04.12

홍성소식 304 - 1년에 한 번 & 평생에 한 번

요즈음 (현미흑)초 치는 농부의 일과는 해가 뜨면 시작되고, 해가 지면 끝납니다. 그날 그날의 작업 종류는 달라도, 크게 보면 양초장과 텃밭에서 반복되는 일과 입니다. 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습니다. ‘일+일’, 노동의 연속입니다. 그러나 내 일 이기에 내일이 기다려 집니다. 4월 5일, 점심식사 직전에, 모친을 모시고 홍성의 명물 벚꽃 길을 다녀왔습니다. 양초장에서 차로 10분 거리에 있습니다. 1년에 한 번 하는 일입니다. 아름다운 벚꽃 길, 감상하여 주셨으면 합니다. 반면, 평생에 한 번 하거나, 평생 한 번도 하기 힘든 일도 있습니다. 4월 8일 KBS ‘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’ 촬영이 초 치는 형제의 인양양초장에서 있었습니다. 5월 1일 토요일 오후 7시 10분에 방송된다고 오늘 연락 받았습니다..

귀향일기 2021.04.10